반응형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 얀센 등에서 코로나 19 백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하고 있다. 이 중 fda 승인을 받은 백신은 화이자 백신과 모더나 백신이다. 미국은 모더나 백신과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고 있으며, 미국 이외에도 여러 국가에서는 이미 백신 접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주한미군을 대상으로 코로나 19 백신을 접종하겠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다.

 

백신과 진단키트는 정반대

 

코로나19 백신의 개발은 씨젠과 같은 진단키트 주에게는 악재다. 코로나 백신으로 인해 코로나 19가 예방이 된다면 진단키트의 수요가 크게 줄 것이고 수요가 줄어들어 실적이 줄어들고 회사에 대한 기대감이 떨어지게 되어 주가가 하락하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그중에서 씨젠은 코로나 진단키트 중에서 실적으로 주가 모멘텀을 가져가는 것이 컸는데 올해 4분기까지는 실적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백신 접종을 시작한 내년은 알 수가 없다. 당장 내년에 코로나 19 백신으로 인해 코로나 19가 예방되고 코로나 19 치료제가 개발되어 코로나 19에 대해 대비가 확실하다면 씨젠의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 19 백신이 크게 효과가 없고 제대로 된 치료제 또한 나오지 않는다면 팬더믹이 계속 진행될 것이고 씨젠의 진단키트의 수요가 더 커질 수도 있다. 

 

 

 

씨젠의 상승재료

 

현재 씨젠은 12월 24일 종가 기준으로 187,700원으로 52주 신고가 322,200원 대비 많이 조정을 받은 상태이다.

씨젠 주봉   출처 : 네이버 증권

  주봉상으로 5일선이 20일선을 깨고 내려온 지 오래되었는데도 반등도 없고 20일선의 꼬리가 아래를 향하는 것으로 봐서 좋은 주봉의 모양은 아니다. 하지만, 씨젠은 코로나 19 하면 떠오르는 코로나 19의 진단키트 대장주이다. 상승 재료는 아직도 있다고 생각한다.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확진자가 폭증하면 여러 국가에서 다시 셧다운을 선언할 수도 있고 한국에서는 현재 거리두기 2.5단계에서 거리두기 3단계로 격상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일일 확진자가 1000명을 넘었는데 이보다 더 올라갈 수도 있으며 4분기 실적이 어닝 서프라이즈가 나오는 것 등등이 있다. 하지만, 반대의 의견도 있다. 코로나 19의 백신이 접종중이기 때문에 씨젠의 주가 상승에 불확실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시장은 불확실성을 싫어해 불확실성이 해소가 될 때까지 조정을 받는 경우가 많다. 씨젠의 경우에도 코로나19 백신 이슈로 진단키트의 수요에 불확실성이 생겨 조정을 받고 있는 것이다. 

 씨젠의 수급은 좋은 편이다. 외국인이 꾸준히 사고 있고 기관의 수급도 좋은 편이다. 개인이 불확실성으로 매도할 때 기관과 외인이 받아먹고 다시 한번 슈팅할 수도 있고 상승 재료가 없어서 계단식 하락으로 계속 하락할 수도 있다. 씨젠의 주가 전망은 코로나 19 백신의 효능에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본 글은 매수, 매도에 대한 추천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주식으로 이득을 볼 수 있는 건 시세차익만이 아니라 배당금을 통해서도 이득을 볼 수 있어요. 오늘은 배당금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배당금이란?

 

기업이 돈을 벌어서 회사가 누적하여 온 이익잉여금의 일부를 기업의 주주들에게 분배하는 것을 말하는데 쉽게 말해서 기업이 번 돈의 일부를 주주들에게 현금으로 지급하는 것을 말해요. 일부 기업들은 돈 대신 주식으로 대신 지급하는 기업들도 있어요.

 

 

 

언제까지 매수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나요??

 

배당금은 2020년 마지막 거래날짜보다 거래일 기준으로 2 거래인 이전에 매수하면 받을 수 있어요. 우리나라는 2일 이후 결제되는 시스템인데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주주명부를 폐쇄하기 때문에 2일 전에 매수를 해야 해요.  12월 31일은 매년 휴장일이기 때문에 올해 마지막 거래일은 수요일 12월 30일이에요.

따라서 12월 28일에 매수한다면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당락이란?

 

2020년 12월 28일이 지나면 그 이후에는 주식을 매수하더라도 2020년의 배당을 받을 수 없어요. 배당을 받을 수 없는 첫 번째 날을 배당락이라고 합니다.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이죠.) 따라서 배당락인 날 이후에는 주식을 매도하더라도 배당을 받을 수 있어요. (2020년 12월 29일에 주식을 매도하더라도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당락에는 주가가 보통 빠지는데 이는 기업에서 현금을 배당하고 나면 기업이 가진 자산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배당을 많이 주면 많이 줄수록 배당락 날 빠지는 주가의 정도가 커져요. 배당락을 당일 회복할 수 도있고 회복하지 못할 수도 있어요. 

 

 

 

 

배당금은 어디로 들어오나요?

 

주주총회에서 배당금을 정한 후 배당금은 해당 주식을 가진 계좌로 배당금이 들어옵니다. 

 

 

 

 

한국기업들은 대부분 1년에 한 번 배당을 한다. 미국에 있는 글로벌 기업들은 대부분 분기배당(3달에 한 번 배당), 반기배당(6개월에 한 번 배당), 월배당을 하여 주주친화적인 모습들을 보여준다. 배당을 분기로 준다면 주주 입장에서는 복리로 주식을 더 투자해 자산을 불리기 더 유리할 것이다. 한국도 점점 분기배당을 하는 기업이 생기고 있지만 그 수가 너무 적다. 삼성전자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미국 회사처럼 주주가치 재고를 위해 몇 년전부터 분기배당과 자사주 매입을 하고 있지만 다른 코스피, 코스닥 상장사들은 주주들에게 환원하는 것이 미국 주식시장에 비해 적다. 올해 주식을 시작한 사람이 많아진 만큼 상장사들에서 주주환원적인 정책을 내세워 한국이 선진화된 자본주의를 가졌으면 좋겠다. 

 

 

반응형
반응형

 박셀바이오는 9월 22일 하나 금융투자의 주관으로 신규 상장을 한 코스닥의 바이오 기업으로 상장 당시에는 크게 인기를 끌지 못했다. 박셀 바이오는 청약 당시 96: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퍼플바이오 보다는 높은 경쟁률이었지만 고바이오랩, 티앤엘 같은 ipo에 비하면 관심을 받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박셀바이오는 공모가 밴드의 하단인 30,000만원이 공모가가 되었고 상장날에는 시초가 27,000원 종가 21,300원으로 공모가를 크게 하회했다. 11월 26일까지는 20,000원 ~ 30,000원 사이를 횡보했지만 11월 26일에 28%가 급등한다.

 

 

  11월 26일에 급등한 이유로는 한양증권에서 나온 리포트 때문으로 보고있다.  리포트 내용은 박셀바이오가 항암 세포치료제의 핵심 기업으로 놀라운 임상결과를 내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박셀바이오 파이프라인 중 임상 진행 정도가 가장 빠른 Vax-NK 항암세포치료제는 진행성간암의 치료제로 2016년 임상 1상을 시작했다. VaxNK는 임상 1상에서 객관적반응률(ORR)이 72.7%, 중앙생존기간(mOS)은 2020년 1월 기준 40개월으로 뛰어난 효과를 보여주었다. 현재 박셀바이오의 vaxNK는 2a 임상을 진행중이다. VAx-NK외에도 박셀바이오는 많은 항암면역치료관련 파이프라인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다.

박셀 바이오 파이프 라인   출처 : 박셀바이오 IPO 자료

박셀바이오의 급등에는 박셀바이오의 훌륭한 Vax-NK도 급등 이유에 포함되겠지만, 박셀바이오의 총 상장 물량 중에서 공모된 물량이 적은 것도 있다. 

   박셀바이오 공모후 지분율

 기존 주주들이 상장 후에 팔지 않는다면 시장에 나오는 물량은 13%이다. 기존 주주를 포함한다면 유통 가능 물량이 52%지만 결과론적인 얘기지만 기존 주주들이 물량을 많이 매도하지 않았기에 박셀바이오의 무서운 상승랠리가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11월 26일 리포트 이후에 무서운 속도로 급등해 12월 11일까지 129,000원까지 저점대비 약 6.5배 정도 급등한다. 12월 11일이 금요일 이었는데 다음주 월요일인 12월 14일 박셀바이오는 상승세에 불을 지피는 공시를 한다. 1주당 1주를 더 주는 무상증자를 공시한다. 무상증자는 주식을 보유중이었다면 주식을 더 주는 것으로 시장에서는 호재로 본다. 12월 14일 20%를 급등하고 무상 증자를 재료로 그 이후에도 상승하여 12월 24일 종가 기준으로 219,900원에 마감했다. 이는 코스닥 26위로 시총은 약 1조 6천억이다. 박셀 바이오의 상승세가 어디까지 지속될지 박셀바이오의 상승세가 무섭다.

박셀 바이오 일봉   출처 : 네이버 증권

반응형
반응형

태양광 관련주로 알려진 한화솔루션이 21일 유상증자를 공시했다. 보통주식 31,414,000주를 38,200원에 증자할 것으로 공시했다. (가격은 아직 확정이 아니다.)

 

한화솔루션 IR 자료에 따르면 유상증자 자금 조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시설자금: 6,000억원

운영자금: 3,000억원

타법인증권취득자금: 3,000억원

총 1.2조의 유상증자를 진행한다. 12월 24일 종가 기준으로 한화솔루션의 시가총액이 약 7조 3천억원이므로 시가총액의 약 6분의1 정도의 규모를 유상증자 한다고 보면 된다.

 

 

정확한 유상증자의 자금은 어디에 사용될까? 

 

태양광 차세대 제품 개발 및 생산에 33%인 4,000억, 태양광 발전자산 취득 및 개발 역량 강화에 25%인 3,000억 태양광 분산형 발전 기반 에너지 사업에 25% 3,000억을 투자, 태양광 사업에 총 1조원을 투자한다.

수소 생산에 8%인 1,000억원, 수소 저장/유통에 8%인 1,000억원을 투자한다.  총 수소 산업에 2000천억을 투자한다.

(출처 : 한화솔루션 IR)

 

 

 

한화솔루션은 2021~2022년은 영업 현금흐름보다 투자금액이 크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증자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2023년 부터는 영업 현금흐름의 고성장으로 투자금액보다 영업 현금흐름이 많아져 주주가치가 지속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한화솔루션은 2021년에 매출 9조 0.7조 영업이익을 목표로 하지만 2025년에는 21조원의 매출과 2.3조원의 영업이익을 목표로 고성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수소 수요 전망이 2020년에 비해 2050년 약8~9배 정도 커질 것으로 예상해 수소산업에서도 꾸준히 이익을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솔루션이 태양광사업에 대해 그동안 보여준 것이 없는 기업은 아니다. 로벌 에너지 컨설팅 기관인 우드맥킨지(Wood Mackenzie)가 최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화큐셀(한화큐셀은 한화솔루션 자회사)은 미국 주거용 태양광 모듈 시장에서 3분기 27.4%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9분기 연속 1위를 달성했다. 또한 미국 상업용 태양광 모듈 시장에서는 3분기 시장 점유율 22.2%로 4분기 연속 1위를 유지했다. 미국은 바이든이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친환경 에너지에 2조달러 규모의 투자하겠다고 발표했고 주식 시장에서는 친환경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 시장은 환경 문제로 시장규모가 더 커질 수 밖에 없고 그 중에서도 태양광과 풍력이 중심이 될 것이다.  2019년에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원자력 발전량을 처음으로 추월한 만큼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된다. 

 

 

한화솔루션의 유상증자는 단기로 보면 지분 가치가 희석되어 악재지만 한화솔루션의 IR설명회 자료처럼 유상증자로 한 투자를 바탕으로 영업이익이 늘어나고 시장점유율이 상승한다면 장기로 봤을 때 한화솔루션의 유상증자는 호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
반응형

두산 솔루스가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라는 사모펀드에게 매각되어 오늘 12월 24일에 솔루스첨단소재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는 솔루스 첨단소재의 지분 53%가진 대주주이다.

솔루스 첨단소재가 12월 23일에 공시한 내용에 따르면 룩셈부르크에 있는 자회사(Doosan Electro-Materials Luxembourg Sarl)가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했다. 유상증자의 규모는 5042억원 규모로 LG에너지솔루션이 575억원을 출자하고 솔루스첨단소재와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는 각각 801억원, 3666억원을 투입한다. 룩셈부르크에 있는 자회사는 서킷포일을 2014년에 인수한 것으로 2차전지에 사용되는 전지박을 만드는 회사로 솔루스첨단소재가 2차전지 관련주가 된 이유이기도 하다.

 

솔루스첨단소재가 Lg화학의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과 배터리동맹을 맺는다는 소식은 좋은 소식이지만 동맹의 방식이 아쉽다. 솔루스첨단소재의 지분을 lg에너지솔루션이 취득하는 것이 아닌 룩셈부르크에 있는 자회사의 지분을 제3 자 유상증자의 방식으로 lg에너지 솔루션에게 준 것이다. 

 

 

유상 증자 후에 룩셈부르크 법인의 지분율은 다음과 같다.

 

솔루스 첨단 소재 : 53.72%

스카이레이크사모펀드 : 40%

LG에너지솔루션 : 6.27%

 

솔루스첨단소재는 2022년까지 2단계 증설을 마무리해 총 2만5000톤의 연간 생산 체제를 갖출 계획이며 2025년 7만5000톤까지 연간 생산 능력을 확보하고, 세계 1위 메이커를 목표로 유럽 전지박 시장을 선도하는 것이 목표라고 한다. 솔루스첨단소재의 반기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솔루스첨단소재의 전지박 사업은 헝가리 공장 본격 양산 전 CFL에서의 소량 판매만 이루어 짐에 따라 매출 및 시장점유율 규모가 매우 작으나, 금년도부터 헝가리 공장의 본격 양산됨에 따라 글로벌 시장점유율 확대 예정이라고 한다. 현재 솔루스첨단소재의 동박 시장 점유율은 0.1%이다. 현재 솔루스 첨단소재는 100톤 정도의 동박을 생산하는데 헝가리 공장 증설을 통해 2025년에 7만 5000톤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라고 하니 솔루스 첨단소재의 성장성이 기대가 된다. 동박의 시장규모의 미래 또한 밝다. 이는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따른 것으로 동박의 수요는 2020년보다 2025년에 시장규모가 5배나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에 애플이 전기차 사업에 대한 생각을 밝혀 화제가 되었다. 애플이 전기차 사업에 진출을 생각할 만큼 전기차 시장의 전망이 좋으므로 동박의 전망 또한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래 그래프는 하나금융투자가 예측한 전기차 배터리용 동박 수요 전망이다.

동박 수요 전망

 

제3자 유상증자 전에는 솔루스첨단소재가 룩셈부르크 법인의 지분 100%를 가지고 있었지만 제3자 유상증자를 하고난 후에는 지분율이 약화되었다. 지분율이 100%에서 약 53%로 줄어 룩셈부르크 법인의 이익이 늘어난다하더라도 솔루스첨단소재가 그 이익을 모두 가져가는 것이 아니다. 이 유증 방식은 솔루스첨단소재보다 솔루스첨단소재의 대주주인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에게 유리한 방식이다. 2차전지의 성장으로 인한 전지박의 성장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고 솔루스 첨단소재가 LG에너지솔루션과 배터리 동맹을 맺은 사실은 긍정적이나 솔루스첨단소재가 룩셈부르크 법인의 지분율이 더 높아야 솔루스첨단소재의 성장에 더 좋을 것인데 그 부분이 아쉽다.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moat라는 미국에 상장된 etf를 통해서 저만의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 법을 말씀드리려고 해요.

moat라는 단어의 뜻은 해자라는 뜻인데 해자를 가진 기업은 경쟁사로부터 기업을 보호해 주는 높은 진입장벽과 확고한 구조적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는 기업이다. 해자는 원래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곽을 따라 파놓은 못을 가리키는데, 경쟁사가 쉽게 넘볼 수 없는 진입장벽을 해자에 비유한 용어가 바로 경제적 해자이다. 워렌 버핏이 1980년대 발표한 버크셔 해서웨이 연례보고서에서 최초로 주창한 투자 아이디어로 기업의 장기적 성장가치의 척도가 된다.

 

MOAT라는 etf는 이 경자적 해자를 가진 기업 중에 투자평가사 모닝스타가 적정가치 대비 저평가된 주식을 모아 3개월마다 동일 가중으로 40개씩 리벨런싱 하는 etf입니다.

현재 기준으로 moat etf의 산업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 Technology21.04%
  • Healthcare19.62%
  • Financials16.54%
  • Consumer Non-Cyclicals13.70%
  • Industrials12.96%
  • Consumer Cyclicals9.50%
  • Basic Materials2.98%
  • Energy2.45%
  • Utilities1.23%

moat의 현재 top10 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금은 현금비중을 조금 늘렸네요.

  • U.S. Dollar8.99%
  • Applied Materials, Inc.2.99%
  • Charles Schwab Corporation2.89%
  • Corteva Inc2.80%
  •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2.72%
  • Boeing Company2.55%
  • John Wiley & Sons, Inc. Class A2.50%
  • Yum! Brands, Inc.2.43%
  • U.S. Bancorp2.39%
  • Cheniere Energy, Inc.2.38%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투자평가사인 모닝스타가 나름 시장에서 저평가되었다고 생각하는 주식을 40개 정도를 매분 기마다 제공하는 것입니다. 40개 중에서는 내가 아는 기업도 있고 모르는 기업이 있을 것인데 아는 기업이면 산업에서 어떤 해자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해보고 현재 적정 가치 대비 저평가라면 매수를 합니다.

모르는 기업이면 이 기업이 어떤 사업을 하고 돈을 어떻게 버는지 공부를 합니다. 공부를 해도 이 기업의 돈을 버는 구조를 이해하기 어렵고 산업이 너무 어렵다면 매수하지 않으면 됩니다. 공부를 했더니 좋은 기업인데 저평가라면 매수하시면 됩니다. moat etf는 snp500를 초과하는 수익을 올리는 etf이기 때문에 종목 선정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아요. 내가 기업을 분석하기 어렵다면 moat etf에 투자하는 전략도 괜찮은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moat etf는 미국에서 직투로 매수할 수 있고(티커 : Moat) 한국에 상장된 etf인 KINDEX 미국WideMoat가치주를 매수하셔도 좋습니다. 수수료는 moat가 0.48% KINDEX 미국WideMoat가치주가 0.4%로 KINDEX 미국WideMoat가치주가 수수료는 더 저렴하지만 운용규모가 moat가 더 크고 호가를 생각하면 미국 직투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미국 직투와 한국 etf의 세금 또한 다른데 그 내용은 제가 포스팅해놓았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2020/12/20 - [지니의 재테크] - 주식 세금 총정리!! (개별주, etf, 해외 직투, 배당)

 

주식 세금 총정리!! (개별주, etf, 해외 직투, 배당)

주식을 하다 보면 수익이 나게 되고 2020년 연말이 되었으니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거예요. 모든 기준은 2020년 현재 기준입니다. 2023년에 주식 양도세가 도입된다

notstudying.tistory.com

제가 투자 아이디어를 얻는 moat etf에 대해서 소개해보았습니다. 해자를 가진 기업은 그 해자가 무너지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투자를 할 수 있어 좋은 것 같아요! 제가 종목을 고르는 방법이 여러분께도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ㅎㅎ

반응형
반응형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5개를 보면

1위 삼성전자 2위 하이닉스 3위 lg화학 4위 삼성전자우 5위 삼성바이오로직스

3종목이 반도체 1종목이 2차전지 1종목이 바이오이다.

 

전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한국이 산업을 주도하는 분야가 생각보다 많지는 않다.

첫 번째는 조선업인데 조선 big3라고 불리는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은 조선업 불황으로 인해 기술력은 좋지만 실적이 좋지않다.

 

두 번째는 반도체 중에서 메모리반도체인 D램과 낸드 시장이다. 

D램 점유율. 출처 : DRAMeXchange

D램이란 용량이 크고 속도가 빨라 컴퓨터의 주력 메모리로 사용되는 램을 말한다. D램에서 삼성전자는 43.5%의 점유율, sk하이닉스는 30.1%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D램 시장규모는 약 76조원 정도로 절대 작은 시장이 아닌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치킨게임을 통해 살아남아 반도체 슈퍼사이클마다 엄청난 돈을 벌고 있다.

 

낸드플래시는 전원이 꺼지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하는 롬의 장점과 손쉽게 데이터를 쓰고 지울 수 있는 램의 장점을 동시에 지니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말한다.

낸드 플래시 점유율 출처 : 스태티스타

낸드플래시는 삼성전자가 31.4%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낸드플래시는 치킨게임이 아직 진행되지 않은 분야지만 삼성전자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은 낸드 플래시 사업부에서 적자를 보기 있기 때문에 치킨게임을 한다고하더라도 삼성전자에게 유리하다. 낸드 플래시의 시장규모는 약 66조로 삼성전자가 치킨게임에서 또 다시 승리한다면 낸드와 D램을 합친 약 130조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반독점을하게 되는 것이다. SK하이닉스도 낸드 플래시 메모리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인텔의 낸드플래시 시장을 인수하였다.

 

2차전지는 한 번 쓰고 버리는 것이 아닌 충전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를 말한다. 2차 전지를 시장에서 주목하는 이유는 환경오염 때문에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는데 전기차에 2차전지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2차전지 시장에서 LG화학이 시장 점유율 1위를 하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 탑재 2차전지 사용량 순위에서 LG화학이 중국 CATL을 넘어 누적 점유율 25.1%로 세계 1위 자리를 차지했다. LG화학의 전기차용 2차전지 사용량은 7월까지 누적 13.4GWh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7.4% 성장했다.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도 각각 6.4%, 4.1%의 점유율로 각각 4위와 6위를 기록했다.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용 2차전지 사용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2.6%, 86.5% 증가했다. 

2차전지의 시장규모 전망도 밝다. SNE리서치의 ‘리튬이차전지 주요 소재 업체 심층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 글로벌 리튬이온 이차전지(LIB) 시장 수요량은 3392기가와트시(GWh)에 육박할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수요량 198GWh에 비해 약 17배 늘어난 수준이다. 

 

한국 기업이 세계에서 경쟁력을 가지는 분야가 이외에도 더 많겠지만 미래 먹기리인 동시에 한국이 시장에서 높은 기술력과 점유율은 가지고 있는 분야는 2차 전지와 반도체라고 생각한다. 4차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는 반도체와 시장 전망이 밝은 2차 전지를 한국에서 주도하고 있다면 투자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2차 전지와 반도체 관련주가 이미 코스피 2700을 넘으면서 상당히 벨류가 높게 올라온 상황이지만 계속 상승하지는 않고 조정은 언젠가 온다. 조정 때마다 모아간다면 좋은 수익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본글은 매수에 대한 추천글이 아닙니다.

반응형
반응형

주식을 하다 보면 수익이 나게 되고 2020년 연말이 되었으니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거예요.  모든 기준은 2020년 현재 기준입니다. 2023년에 주식 양도세가 도입된다면 바뀔 수도 있어요!

 

1. 코스피, 코스닥 개별주

 

삼성전자, LG화학과 같은 개별주식은 매도할 때 증권거래세 0.25%가 자동으로 부과되므로 대주주가 아니라면 증권거래세 말고는 세금이 없습니다.

 

만약 대주주라면?

대주주요건은 올해 논란이 있었지만 한 주식을 10억 원 이상 들고 있으면 대주주에 해당합니다. 대주주의 세금은 

양도차익 3억 이하 : 20%

양도차익 3억 초과 : 25%

대기업 주식 1년 미만 보유 매도시 : 30%

 

2. 국내 etf

 

2-1 : 국내 주식형 etf

국내 주식형 etf는 etf중에서 국내 주식으로만 구성된 etf를 말합니다. kodex반도체와 같은 etf를 말합니다.

국내 주식형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서 세금을 걷지 않습니다. (단, kodex 레버리지, kodex 인버스는 국내 주식형 etf가 아닙니다.)

 

2-2 : 해외 주식형 etf, 기타 etf

해외 주식형 etf는 국내 주식으로 구성된 것이 아닌 etf를 말합니다. Tiger 미국 나스닥 100 같은 etf는 미국의 나스닥에 투자하므로 해외 주식형 etf라고 합니다. 기타 etf는 kodex 레버리지나 kodex200 선물 인버스 2x와 같은 레버리지 상품과 인버스 상품과 원유, 농산물과 같은 원자재 등등, 국내 주식형 etf와 해외 주식형 etf가 아닌 나머지를 기타 etf라고 합니다.

해외주식형 etf와 기타 etf는 수익금의 15.4%를 배당소득세로 매도시 자동으로 부과합니다. 즉, 해외주식형 etf와 기타 etf의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세에 포함됩니다. 만약, 배당소득세로 2000만 원이 넘을 시에 종합소득세로 넘어가게 되니 유의해야 합니다!

 

3. 해외 주식 직접투자

해외주식은 해당 국가에 직접 투자하는 것으로 매매 차익에 250만원을 공제하고 22%의 세금을 부과합니다.  해외주식은 자동으로 세금이 부과되는 것이 아니라 양도세를 국세청에 본인이 신고해야 합니다. 해외 주식형 etf와 기타 etf는 손익통산이 되지 않지만 해외 주식 직접 투자는 손익통산이 되어 세금을 내면 됩니다. 현재 많은 증권사에서 양도세 신고를 대행해주는 경우가 많아 증권사에 문의해보면 됩니다!

 

4. 배당

배당락이 지나면 기업에서 배당을 주는데 배당은 은행에서 이자를 받는 것과 같은 세금으로 들어갑니다. 배당소득세로 15.4%를 세금으로 떼고 증권사 계좌로 지급합니다. 배당도 해외 주식형etf, 기타 etf와 마찬가지로 1년에 2000만 원이 넘을 경우 종합소득세로 넘어가게 되니 유의해야 합니다!

 

 

주식과 관련된 세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주식과 관련된 세금이 복잡하지만 우리 모두 열심히해서 수익을 내봅시다!! 파이팅!

 

반응형

+ Recent posts